"맥반석 응용에 관한 연구" (1996년, 한국수도연구소)
1). 미네랄 용출시험
Ca, K, Na 등의 미네랄 성분이 용출되며, 용출되는 정도는 맥반석판보다 맥반석 가루에 의해 더욱 많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가루 사용에 의한 넓은 표면적 때문으로 사료되며, 미네랄 성분의 용출정도는 Ca>K>Na의 순이었다.
2). 유해물질 용출시험
A. 휘발성 유기물질의 조사결과 맥반석을 2일간과 7일간 Blank water 용출시킨 후 휘발성 유기물질을 분석하였을 때, 모든 시료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B. 수중 농약류 검사결과 맥반석을 용출시킨 시료에 대하여 농약류를 분석한 결과 모두에서 분석대상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C. 음이온 성분 용출 조사결과 증류수에 맥반석을 넣고 2일 및 1주일 후 용출되는 음이온 성분을 측정.조사한 F-, NO3-, SO4-2 이온성분은 전혀 용출되지 않았으나 염소이온은 용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량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출되는 정도는 맥반석 가루가 가장 현저하였으며 맥반석판, 맥반석 구슬이 순서였다.
D. 중금속 성분의 용출 조사결과 (Mn, Fe, Cu, Zn, Al, Pb, Cd, As, Se, Hg)증류수에 맥반석을 넣고 일정시간 방치시 킨 후 용출되는 중금속 성분을 측정.조사한결과, Al을 제외한 다른 금속 성분들은 1 주일 침적에 의해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Al의 경우는 맥반석판, 구슬에서는 용출되지 않은 반면, 가루에서는 초기에 다량 (24시간 0.34ppm/ 48시간 1.40ppm/1주일 1.44ppm) 용출된 것은 맥반석을 구성하는 장석의 성분인 Al 때문으로 사료된다.
E. 미생물 시험결과 맥반석을 넣은 시험수에 일반세균 및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F. 심미적 영향물질의 용출시험 결과 유기물 농도를 대표할 수 있는 과망간산칼륨 소비량과 증발 잔류물의 경우 약간 증가하고 pH의 경우 시간의 경가에 따라 강알칼리화 되었다. 또한 경도의 농도가 약간 증가되었으며 이는 미네랄 용출의 결과로 사료된다. 그밖에 맛, 냄새, 색도, 세제, 탁도 등에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3). 유해물질 제거효과 맥반석 가루 16g을 사용하였을 때에 Mn, Fe, Cu, Pb, Cd, As의 중금속이 침적 4시간 경과 후 90%이상이 제거되었으며 Hg는 80% 제거되는 등 뛰어난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4). 시안의 제거효과에 대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한 맥반석의 양이 많을수록 제거가 잘 됨을 알 수 있었다.
5). 용존산소량 및 pH 변화 측정 결과 약산성이었던 물이 약알칼리성으로 변하였으며, 용존산소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약 30%증가를 보였다.
6). 살균력 시험결과 시료의 양이 많을수록 세균의 감소가 높게 나타났다.
7). 미생물 생성 억제 시험 최적의 농도로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미생물의 생성 여부를 알아본 결과 특 정균의 생성이 없었다.